(시사캐스트, SISACAST=윤진철 기자)
일제강점기 국내 지역에서 강제로 노무 동원된 피해자들이 5567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국내 노무동원피해자로 완료된 건수 1만5031건(중복 신고건 포함)을 대상으로 동원된 피해자들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국내에서 가동한 1256개 기업 가운데 202개 기업에 동원된 피해사례는 6415건(5567명·다중 동원 포함)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60개 기업은 현재 일본에 남아 있는 '강제동원 현존기업'으로 확인됐다. 동원된 피해건수는 4776건(4178명·중복 포함)으로, 국내노무동원 피해조사 완결 건 대비 31.8%에 해당하며, 242개 작업장에 동원됐다.
동원지역으로는 함경북도가 1849건으로 가장 많고, 직종별로는 탄광산과 토건(주로 수력발전소), 군사시설물구축공사장 순서다.
함북과 함남, 평북, 평남, 황해 등 한반도 북부지역의 피해건수는 3525건으로 전체 4776건 대비 73.8%에 달한다.
특히 니혼질소비료(현재 칫소㈜)는 일명 아오지탄광으로 알려진 조선인조석유(탄광산, 공장 등 피해건수 763건)와 흥남비료공장으로 알려진 니혼(日本)질소비료(피해건수 311건) 등 총 8개 작업장을 북부지역에 집중 운영했다. 하자마구미(현재 ㈜하자마)는 수력발전소 공사를 전담했다.
이들 기업에는 당시 일본 3대 기업으로 손꼽혔던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 계열사는 물론 신일본제철(니혼제철, 닛테쓰광업), 아소다로 현 일본 부수상의 집안인 아소광업이 출자한 기업(조선유연탄㈜)도 포함돼 있다.
위원회는 "현재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현재 신일본제철)을 상대로 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대법원에 계류 중이나 이들 원고는 일본지역으로 강제동원된 피해자에 그치고 있다"며 "이는 국내동원을 징용으로 인식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 탓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2013년 위원회 학술연구용역보고서 '일제 강제동원 동원규모 등에 관한 용역'에 의하면 국내노무동원 피해규모를 650만8802건(중복동원 포함)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위원회 국내노무동원 피해조사완료건(1만5031건)은 0.23%에 불과하므로 그 피해사례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