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캐스트, SISACAST= 김은서 기자)
고물가와 고금리가 장기화 되면서 금융권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옛 신용불량자)가 된 20대가 급증하고 있다. 은행권의 대출 규제와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신용대출의 문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기반이 취약한 젊은세대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9일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5887명(중복 인원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말(5만2580명) 대비 25.3%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8730명에서 59만2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20대 증가세가 매우 두드러진다.
통상적으로 신용유의자는 대출 만기 3개월 경과 또는 연체 6개월 경과 등 정해진 연체 기간을 초과하면 신용정보원에 등록되는데, 한 번 신용유의자로 등록되면 신용이 회복될 때까지 금융 생활에 있어 여러 불이익을 받게 된다.
대표적 예로 신용유의자는 개인 카드사용이 정지되고, 대출이용에 제한이 생기며, 신용등급 하락으로 금융 혜택의 대부분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연체 금액 ‘1000만원 이하’ 88.1% 차지
이강일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경우는 3만3610명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이며, 나머지는 저축은행(2만2356명), 여전사(1만6083명) 등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20대 청년 연체자 가운데, 소액 연체자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평가회사(CB)에 단기연체 정보가 등록된 20대는 지난 7월 말 기준 7만3379명(카드대금 연체 제외)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연체 금액이 '1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6만4624명(88.1%)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대 연체자 10명 중 9명은 소액 채무자라는 의미다. 금액이 소액인 점을 감안할 때 생활비나 주거비 등 생계에 직격탄을 맞은 청년이 상당수일 것으로 분석된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경기 둔화 여파에 실업난까지 겹치면서 20대 신용유의자들의 취업 문턱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취업도 하기 전에 빚더미부터 떠안게 되면서 청년들의 미래는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층 증가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재작년 11월 이후 2년 가까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한 달 간, 15살에서 29살 사이 청년층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고 답한 청년은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기준 역대 가장 큰 규모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4만2000명이나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쉬는 청년 중의 75%가 ‘일하기를 원치 않았다’고 답했으며, 4명 중 3명이 일자리를 찾을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각에선 청년들이 구직을 포기하는 이유에 대해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이라고 부정적인 예상을 하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 훈련과 전문가를 멘토로한 실질적인 취창업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강일 의원은 "저성장이 지속되는 중에 20대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생계 어려움이 소액연체라는 결과로 드러났다"면서 "청년층 소액연체를 채무조정 등 금융으로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와 사회 정책 등 거시적 청년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사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