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19:48 (금)
[코로나 쇼크-①] 한국경제 전망 '전염병에 걸린 침체의 지표들'
상태바
[코로나 쇼크-①] 한국경제 전망 '전염병에 걸린 침체의 지표들'
  • 최기훈 기자
  • 승인 2020.04.20 1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캐스트, SISACAST= 최기훈 기자)

경제 전반에 ‘C(코로나19)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만 그런 게 아니다. 세계 각국의 타격도 크다. ‘세계 대공황 이후 최악’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악’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 등 음울한 전망을 쏟아내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 경제가 얼마나 빨리 제자리를 찾을 수 있느냐다. 이미 각종 경제지표는 ‘V자 반등’을 기대하긴 힘들다는 경고를 울리고 있다. 이제 과거와 같은 눈부신 경제 발전을 점치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코로나 쇼크, 생각보다 후유증이 심각할 지도 모르겠다.



“최근 우리 경제는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경기위축이 심화되고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4월 경제동향’을 통해 내놓은 국내 경기전망이다. 3월 진단에선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경기 전반이 위축되고 있다”고 했는데, 이번엔 심각성을 더 강조했다. KDI는 2월만 하더라도 “경기부진이 완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3월부턴 부정 평가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하향세를 보이는 각종 경제지표가 부정평가의 근거가 됐다. 2월 전산업생산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특히 서비스업의 부진이 도드라졌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3.5%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이 -14.1%,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업이 -17.9%를 기록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정부 차원의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제조업이라고 상황이 좋진 않다. KDI는 “재고율이 상승하고 평균가동률은 하락하면서 수요의 감소 흐름이 관찰됐다”고 분석했다. 2월 제조업 재고율은 전월(113.9%)보다 높은 118.0%를, 평균가동률은 전월(75.6%) 대비 4.9%포인트 하락한 70.7%를 기록했다. 중국 공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면서 부품과 자재 등을 생산 수급하던 공급망 생태계가 무너진 탓이다.

 
심각한 건 이 전망의 근거가 2월 자료라는 점이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3월 지표는 더 가파른 하락세를 보일 공산이 크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은 처참했다. 취업자 수가 266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5000명(-0.7%)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던 2009년 5월 24만명이 감소한 이후 10년 10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줄어들었다.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특히 한국경제의 허리 세대인 ‘40대 취업자 수’는 2015년 11월 감소세로 돌아선 이후 53개월째 추락 중이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22만9000명 줄었다. 2009년 1월(-26만2000명) 이후 최대폭의 감소다. 업종 별로는 대면 접촉이 많은 ‘도·소매업(-16만8000명)’ ‘숙박·음식점업(-10만9000명)’ ‘교육·서비스업(-10만명)’ 등에서 타격이 컸다. 일시 휴직자는 전년 대비 126만명 불어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인 160만7000명을 기록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대치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3월 통관 기준 수출(잠정)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한 469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 영향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을 보면 전년 대비 감소폭이 –6.4%로 더욱 커진다. 유가가 하락하면서 수출단가가 하락한 영향이 컸다.
 
‘반도체(-2.7%)’ ‘일반기계(-3.8%)’ ‘석유제품(-5.9%)’ ‘석유화학(-9.0%)’ ‘선박(-31.4%)’ 등에서 특히 부진했다. 미국·유럽 등에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4월 수출 통계는 이보다 더 나쁠 가능성이 높다.
 
확진자 수가 두 자릿수로 감소한 지금부턴 경제반등을 기대해도 되는 걸까. 유감스럽게도 전문가들은 비관적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IMF는 지난해 10월과 올해 1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2.2%로 내다봤다. 3개월 만에 기존 전망치보다 3.4%포인트 내려 잡은 것이다.
 

국내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했다. 당초 1.9%로 예상했던 올해 경제성장률을 4.2%포인트나 끌어내렸다. 애초에 급감한 확진자 수도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늦춘 결과다.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여도 장기침체를 우려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되는 시점은 백신이 개발되거나 상당수 인류가 면역 체계를 갖출 때다. 언제인지 불확실하다.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이 그때까지 버텨줄 지도 아직 미지수다. 코로나19가 만든 ‘뉴노멀 시대’를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사진 = 넷플릭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